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500x240x10x12 (sn490) 플렌지 웨브 가각의 판폭 두께비를 구하시오(필렛반지름 r=18)

 

10.44

 

 


 

 

경량 목구조 틀린 것

 

  1. 기초-기둥 스터드는 머드멜 사용
  2. 내진 기초 콘크리트 스터드 기둥 홀다운 앵커볼트
  3. 기건 함수율 15프로이고 구조 안전에 영향을 미침
  4. 침엽수가 구조용
  5. 가구식 기둥-보 합판은 구조적 성능이 없다

 


 

 

다음 중 지진응답 계수가 아닌 것은?

 

  1. 중요도계수
  2. 변위증폭계수
  3. 반응수정계수
  4. 건축물의 고유주기
  5. 설계 스펙트럼 가속도
반응형

 


 

 

다음 중 구조계수가 옳지 않은 것은?

 

  1. 도심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는 0이다.
  2. 도심은 대칭축 위에있다.
  3. 단면계수가 클수록 휨모멘트가 크다
  4. 단면2차 반경이 클수록 좌굴에 강하다
  5. 주축에 대한 단면 상승모멘트는 1이다.

 


 

 

다음 중 기본등분포활하중이 가장 큰 곳은 어디인가?

 

  1. 판매장 중 창고형 매장
  2. 공동주택의 공용실
  3. 집회장 등의 주방
  4. 학교 중 중량물실험실
  5. 사무실 중 문서보관실

판매장 창고형 매장 - 6.0kN/m$^2$

공동주택의 공용실 - 5.0kN/m$^2$

집회시설 주방 - 7.0kN/m$^2$

학교 중 중량물 실험실 - 5.0kN/m$^2$

사무실 중 문서보관실 - 5.0kN/m$^2$

 

아래 표를 보고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뭔가 중량물실험실이라고 하니까 제일 커보일 것 같은데 집회장 등의 주방이 제일 크네

 

3.2.1 기본등분포활하중    (KDS 41 12 00 건축물 설계하중)

(1) 건축구조물에 적용하는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소값은 표 3.2-1과 같다.

표 3.2-1 기본등분포활하중(단위:kN/m$^2$)

용 도 등분포활하중
1 주택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 2.0
공동주택의 공용실 5.0
2 병원 병실 2.0
수술실, 공용실, 실험실 3.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3 숙박시설 객실 2.0
공용실 5.0
4 사무실 일반 사무실 2.5
특수용도사무실 5.0
문서보관실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5 학교 교실 3.0
일반 실험실 3.0
중량물 실험실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6 판매장 상점, 백화점 (1층) 5.0
상점, 백화점 (2층 이상) 4.0
창고형 매장 6.0
7 집회 및
유흥장
모든 층 복도 5.0
무대 7.0
식당 5.0
주방 7.0
극장 및 집회장 (고정 좌석) 4.0
집회장 (이동 좌석) 5.0
연회장, 무도장 5.0
8 체육시설 체육관 바닥, 옥외경기장 5.0
스탠드 (고정 좌석) 4.0
스탠드 (이동 좌석) 5.0
9 도서관 열람실 3.0
서고 7.5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10 주차장

옥외 차도1)
총중량 30kN 이하의 차량(옥내) 3.0
총중량 30kN 이하의 차량(옥외) 5.0
총중량 30kN 초과 90kN 이하의 차량 6.0
총중량 90kN 초과 180kN 이하의 차량 12.0
옥외 차도와 차도 양측의 보도 12.0
11 창고 경량품 저장창고 6.0
중량품 저장창고 12.0
12 공장 경공업 공장 6.0
중공업 공장 12.0
13 지붕 점유·사용하지 않는 지붕(지붕활하중) 1.0
산책로 용도 3.0
정원 또는 집회 용도 5.0
출입이 제한된 조경 구역 1.0
헬리콥터 이착륙장 5.0
14 기계실2) 공조실, 전기실, 기계실 등 5.0
15 광장 옥외광장 12.0
16 발코니 출입 바닥 활하중의 1.5배 (최대 5.0kN/m$^2$)
17 로비 및 복도 로비, 1층 복도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병원, 사무실, 학교, 집회 및 유흥장, 도서관은 별도 규정) 출입 바닥 활하중
18 계단 단독주택 또는 2세대 거주 주택 2.0
기타의 계단 5.0
1) 총중량 90kN 초과 180kN 이하인 차량은 3.4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총중량 180kN을 초과하는 중량차량의 활하중은 3.4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2) 장비 자체의 고정하중은 포함하지 않는다.

 

3.2.2 진동, 충격에 의한 증가

(1) 진동, 충격 등이 있어 표 3.2-1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활하중은 구조물의 실제 상황에 따라 활하중의 크기를 증가하여 산정한다.

 

3.2.3 칸막이벽 하중

(1) 사무실 또는 유사한 용도의 건물에서 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이 설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벽 하중으로 최소한 1kN/m$^2$를 기본등분포활하중에 추가하여야 한다. 다만, 기본활하중 값이 4kN/m$^2$ 이상인 경우에는 이를 제외할 수 있다.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