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특수모멘트골조 관련 부적당한 것?

 

  1. 폭비 0.3 이상
  2. 압축에만 적용된다. 탄성영역에서만 발휘한다.
  3. 보 폭 250mm 이상
  4. 부재의 폭은 휨부재 축방향과 직각으로 잰 지지부재의 부재깊이의 4/3배을 더한 값보다 작아야함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시간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일어나기전 압축강도 fci는 몇fci로 해야하는가

 

  1. 0.6 fci
  2. 0.70 fci
  3. 0.45 fci
  4. 0.25 루트 fci
  5. 0.5 루트fci

 

4.2.1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KDS 14 20 6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1)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시간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일어나기 전의 응력은 다음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① 휨압축응력(다음 ②의 경우 제외)     = $0.60f_{ck}$                         

② 단순지지 부재 단부의 휨압축응력    = $0.70f_{ck}$                                          

③ 휨인장응력(다음 ④의 경우 제외)     = $0.25\sqrt{f_{ck}}$                                         

 단순지지 부재 단부의 휨인장응력        = $0.50\sqrt{f_{ck}}$                                    

계산된 인장응력이 위의 ③ 또는 ④의 값을 초과하는 구역에는 비균열단면으로 가정하여 계산된 전체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추가 부착강재(긴장되지 않은 강재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재)를 인장구역에 배치하여야 한다.

 

*시험에 잘 나오는 문제는 아닐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단마찰? 콘크리트 이어치기

 

  1. 람다=1.4, 정상대로 콘크리트 이어침
  2. 람다=0.6, 아무조치 안함
  3. 람다=1.0, 거칠게
  4. 람다 0.7 , slip bar 설치
  5. 람다 1.4, 6mm 어쩌고

4.6.2 전단마찰 설계 방법

(1)전단마찰철근이 전단력 전달면에 수직한 경우 공칭전단강도 $V_{n}$은 식 (4.6-1)에 따라 구하여야 한다.

 

$V_{n}=A_{vf}f_{y}\mu$                                     (4.6-1)

 

여기서, $\mu$는 다음 (3)에 규정된 마찰계수이다.

(2)전단마찰철근이 전단력 전달면과 경사를 이루어 작용 전단력에 의해 전단마찰철근에 인장력이 일어날 때에 전단강도 

$V_{n}$은 식 (4.6-2)에 따라 구하여야 한다.

 

$V_{n}=A_{vf} f_{y} ( \mu sin \alpha _{f}+cos \alpha_{f})$             (4.6-2)

 

여기서, $\alpha_{f}$ 는 전단마찰철근과 전단면 사이의 각이다.

(3)식 (4.6-1)과 식 (4.6-2)에서 마찰계수 $\mu$ 는 다음 값이어야 한다.

① 일체로 친 콘크리트                                                                                                        $1.4\lambda$      

② 4.6.3(1)의 규정에 따라 표면을 거칠게 만든 굳은 콘크리트에 새로 친 콘크리트            $1.0\lambda$                    

③ 일부러 거칠게 하지 않은 굳은 콘크리트에 새로 친 콘크리트                                         $0.6\lambda$

④ 전단연결재에 의하거나 철근에 의해 구조용 강재에 정착된 콘크리트(4.6.3(2) 참조)    $0.7\lambda$                

여기서 $\lambda$ KDS 14 20 10(4.3.4) 에 따른다.


 

다음 중 내진설계기준에서 반응수정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수정계수를 이용한 밑면전단력은 건축물의 비탄성거동을 가정으로 한다.
  2. 서로 다른 구조시스템을 적용한 건축물에서 구조부재를 공유할 때 더 큰 반응수정계수를 사용한다.
  3. 서로 다른 구조시스템을 적용한 건축물이 같은 방향으로 횡력저항을 하는경우 반응수정계수의 최대값을 사용한다.
  4. 직각 2축 서로 다른 구조시스템을 적용한 건축물은 각각의 반응수정계수를 사용한다.
  5. 반응수정계수는 구조시스템마다 각각 다르다

 


공부가 부족하여 해설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우선 $V=C_{S}W$ 에서 $C_{S}=\dfrac{S_{SD}}{[\dfrac{R}{I_{E}}]}$입니다.

 

여기서,

V=밑면전단력

$C_{S}$ = 지진응답계수

W=고정하중 등의 유효 건물 중량

$S_{DS}$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

 

R값이 커질 수록 밑면전단력($C_{S}$) 값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건축물에서 X방향과 Y방향에 대해서 다른 시스템을 조합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시스템에 해당하는 계수를 사용하라고 아래의 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3 서로 다른 축에서 시스템의 조합

(1) 구조물의 직교하는 2축을 따라 서로 다른 지진력저항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에는 표 6.2-1에서 각 시스템에 해당하는

반응수정계수 R, 시스템초과강도계수 $\Omega $ , 그리고 변위증폭계수 $C_{d}$ 를 사용하여야 한다.

 


 

캔틸레버 보의 끝에 하중P가 작용하고 있을 때 처짐이 가장 큰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하중, ⓛ-보의길이, ⓘ단면2차모멘트)

 

  1. ⓟ:1 ⓛ:4 ⓘ:4
  2. ⓟ:2 ⓛ:3 ⓘ:3
  3. ⓟ:3 ⓛ:2 ⓘ:2
  4. ⓟ:4 ⓛ:1 ⓘ:1
  5. ⓟ:4 ⓛ:2 ⓘ:2

 

캔틸레버보 끝단에 집중하중이 작용할때의 처짐공식은 $\delta=\dfrac{PL^3}{3EI}$이다. 

 

$\delta=\dfrac{PL^3}{3EI}$ 이 식을 $\delta=\dfrac{APBL^3}{3ECI}$ 의 계수를 붙여보자

 

$\dfrac{AB^3}{C}$ 라는 식이 나오는데

여기서, 

A는 하중에 대한 변수

B는 길이에 대한 변수

C는 단면2차모멘트에 대한 변수입니다

1번보기는 $\dfrac{1\times 4^3}{4}=16$ 

2번보기는 $\dfrac{2\times 3^3}{3}=18$ 

3번보기는 $\dfrac{3\times 2^3}{2}=12$ 

4번보기는 $\dfrac{4\times 1^3}{1}=4$ 

5번보기는 $\dfrac{4\times 2^3}{2}=16$ 이다. 여기서 처짐에 대한 계수가 제일 큰 값이 2번보기가 답 입니다

반응형

 


 

다음 중 등분포활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원용도 중 병실이 복도보다 등분포활하중이 크다.
  2. 진동, 충격있는경우 실제 상황에 따라 등분포활하중을 증가하여 적용할 수 있다.
  3. 문서보관용 사무실 용도에서 경량칸막이벽은 등분포활하중에서 제외가능 하다.
  4. 발코니의 등분포활하중은 출입바닥의 1.5배로 하며 최대치 5kN/m²
  5. 기계실의 등분포활하중은 5kN/m²


 

3.2.1 기본등분포활하중    (KDS 41 12 00 건축물 설계하중)

(1) 건축구조물에 적용하는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소값은 표 3.2-1과 같다.

표 3.2-1 기본등분포활하중(단위:kN/m$^2$)

용 도 등분포활하중
1 주택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 2.0
공동주택의 공용실 5.0
2 병원 병실 2.0
수술실, 공용실, 실험실 3.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3 숙박시설 객실 2.0
공용실 5.0
4 사무실 일반 사무실 2.5
특수용도사무실 5.0
문서보관실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5 학교 교실 3.0
일반 실험실 3.0
중량물 실험실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6 판매장 상점, 백화점 (1층) 5.0
상점, 백화점 (2층 이상) 4.0
창고형 매장 6.0
7 집회 및
유흥장
모든 층 복도 5.0
무대 7.0
식당 5.0
주방 7.0
극장 및 집회장 (고정 좌석) 4.0
집회장 (이동 좌석) 5.0
연회장, 무도장 5.0
8 체육시설 체육관 바닥, 옥외경기장 5.0
스탠드 (고정 좌석) 4.0
스탠드 (이동 좌석) 5.0
9 도서관 열람실 3.0
서고 7.5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4.0
10 주차장

옥외 차도1)
총중량 30kN 이하의 차량(옥내) 3.0
총중량 30kN 이하의 차량(옥외) 5.0
총중량 30kN 초과 90kN 이하의 차량 6.0
총중량 90kN 초과 180kN 이하의 차량 12.0
옥외 차도와 차도 양측의 보도 12.0
11 창고 경량품 저장창고 6.0
중량품 저장창고 12.0
12 공장 경공업 공장 6.0
중공업 공장 12.0
13 지붕 점유·사용하지 않는 지붕(지붕활하중) 1.0
산책로 용도 3.0
정원 또는 집회 용도 5.0
출입이 제한된 조경 구역 1.0
헬리콥터 이착륙장 5.0
14 기계실2) 공조실, 전기실, 기계실 등 5.0
15 광장 옥외광장 12.0
16 발코니 출입 바닥 활하중의 1.5배 (최대 5.0kN/m$^2$)
17 로비 및 복도 로비, 1층 복도 5.0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 (병원, 사무실, 학교, 집회 및 유흥장, 도서관은 별도 규정) 출입 바닥 활하중
18 계단 단독주택 또는 2세대 거주 주택 2.0
기타의 계단 5.0
1) 총중량 90kN 초과 180kN 이하인 차량은 3.4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총중량 180kN을 초과하는 중량차량의 활하중은 3.4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2) 장비 자체의 고정하중은 포함하지 않는다.

 

3.2.2 진동, 충격에 의한 증가

(1) 진동, 충격 등이 있어 표 3.2-1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활하중은 구조물의 실제 상황에 따라 활하중의 크기를 증가하여 산정한다.

 

3.2.3 칸막이벽 하중

(1) 사무실 또는 유사한 용도의 건물에서 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이 설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벽 하중으로 최소한 1kN/m$^2$를 기본등분포활하중에 추가하여야 한다. 다만, 기본활하중 값이 4kN/m$^2$ 이상인 경우에는 이를 제외할 수 있다.

 


 

건축구조물의 내진등급별 최소성능목표에서 내진등급-재현주기-성능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내진등급(특) - 2400년 - 인명보호
  2. 내진등급(1) - 2400년 - 붕괴방지
  3. 내진등급(1) - 1400년 - 인명보호
  4. 내진등급(2) - 2400년 - 붕괴방지
  5. 내진등급(2) - 1000년- 기능수행

 


 

다음중 콘크리트구조 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 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구하며, 항상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구하며,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해 구하며, 항상 철근 직경의 8배 이상, 또한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4.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구려해 구하며, 항상 철근 직경의 6배 이상, 또한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5. 부재의 불연속단에서 갈고리 철근의 양 측면과 상부 또는 하부의 피복두께가 70mm 미만으로 표준갈고리에 의해 정착되는 경우, 전 정착길이의 ldh 구간에 3db 이하 간격으로 스터럽이나 띠철근으로 표준갈고리를 둘러싸야 한다.

 


4.1.5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 (KDS 14 20 52 콘크리트구조 정착 및 이음 설계기준)

(1)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L_{dh}$ 는 다음 (2)의 기본정착길이$L_{hb}$ 에 다음 (3)의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여야 한다. 다만, 이렇게 구한 정착길이$L_{dh}$ 는 항상 8$d_{b}$ 이상, 또한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