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크리프에서 잘못된것을 고르시오

 

  1.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크리프가 크다
  2. 상대습도가 클수록 크리프가 크다
  3. 골재 입도가 둥글수록 크리프가 작다
  4. 부재가 클수록 크리프가 작다
  5. 5.시멘트 단위수량이 적을수록 크리프가 적다

 

 


 

사인장 균열 보강철근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주철근과 직각인 스터럽
  2. 부재축과 직각인 용접철망
  3. 주철근과 45도 이하인 경사스터럽
  4. 주철근과 30도 이상인 굽힘주철근
  5. 경사철근과 스터럽의 조합

 

 


 

RC조 부착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틀린 것은?

 

  1.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좋다.
  2. 녹이 약간 슨게 새 철근보다 부착성능 좋다
  3. 가는철근 여러개 쓰는거보다 굵은거 적게쓰는게 좋다
  4. 압축강도 높은게 부착강도 높다.
  5. 수직철근이 수평철근보다 부착강도 높다.

 

 


 

보없이 기둥 받치는 지판 슬라브는?

 

  1. 와플 슬라브
  2. 플랫 슬라브
  3. 플랫 플레이트
  4. 1방향 슬라브
  5. 2방향 슬라브
반응형

 


 

고력볼트의 장점

 

  1. 강한 조임력으로 너트의 풀림이 생기지 않는다.
  2.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3. 응력집중이 적으므로 반복응력에 대해서 강하다.
  4. 고력볼트의 전단응력과 판의 지압응력이 생기지 않는다.
  5. 유효단면적당 응력이 작으며, 피로강도가 낮다.

 

 


 

횡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건물의 일부 층을 강성이 큰 벽체나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내부 코어와 건물 외부 기둥을 연결하는 전도방지를 위한 황력저항구조형식

 

  1. 골조-전단벽
  2. 아웃리거
  3. 가새
  4. 벽식
  5. 튜브

 

 


 

A기둥 탄성좌굴하중은 B기둥의 몇 배인가?

<보기> A: 양단힌지, B: 양단고정

 

  1. 1/4배
  2. 4배
  3. 1/8배
  4. 8배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