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치 한글 용어 영어 용어 내용
슬래브 수축·온도철근 shrinkage and temperature
reinforcement
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되는 철근
슬래브,보 휨철근 flexural reinforcement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스터럽 stirrup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표피철근 skin reinforcement, surface
reinforcement
주철근이 단면의 일부에 집중 배치된 경우일 때 부재의 측면에 발생 가능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철근 위치에서부터 중립축까지의 표면 근처에 배치하는 철근
기둥 주철근 main reinforcement 주된 단면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휨모멘트와 축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철근
띠철근 tie reinforcement, tie bar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후프철근 hoop 폐쇄띠철근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폐쇄띠철근은 양단에 내진갈고리를 가진 여러 개의 철근으로 만들 수 있음.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은 그 양단에 반드시 내진갈고리를 가져야 함.
- 배력철근 distributing bar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 또는 직각과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 종방향 철근 longitudinal reinforcement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 원형철근 plain reinforcement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으로서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 이형철근 deformed reinforcement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위하여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으로서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또는 이와 동등한 품질과 형상을 가지는 철근

 

 

KDS 14 20 00 콘크리트 구조설계(강도설계법) 일반사항에 정리되어 있는 용어들을 정렬해봤습니다. 위치에 관해서는 기준에 내용을 나름 노력해서 나눠봤는데요. 틀린 부분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철근 표면에 따라

철근의 표면에 따라서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이 구분되네요.

  • 원형철근 : 표면에 리브 또는 마디 등의 돌기가 없는 원형단면의 봉강으로서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 이형철근 :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위하여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으로서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철근 또는 이와 동등한 품질과 형상을 가지는 철근

슬래브

 

B단면에서 하부철근의 경우 휨철근이 아래에 있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방향 슬래브 기준에서 단변방향으로 힘이 대부분으로 전달이 되어 단변방향에 유효춤을 크게 확보하기 위해 휨철근이 위치하게 됩니다.

  • 휨철근 :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수축·온도철근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되는 철근

 


  • 휨철근 :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
  • 스터럽 : 보의 주철근을 둘러싸고 이에 직각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한 복부보강근으로서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기둥

  • 주철근 : 주된 단면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휨모멘트와 축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철근
  • 띠철근 : 기둥에서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의 보강철근 또는 철선
  • 후프철근 : 폐쇄띠철근 또는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폐쇄띠철근은 양단에 내진갈고리를 가진 여러 개의 철근으로 만들 수 있음. 연속적으로 감은 띠철근은 그 양단에 반드시 내진갈고리를 가져야 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