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중 내진 설계시 중요도 1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1. 연면적 900m2이상 3층 청사
  2. 연면적 900m2이상 3층 학교
  3. 연면적 900m2이상 3층 방송국
  4. 연면적 900m2이상 3층 근로복지시설
  5. 연면적 900m2이상 3층 숙박시설

 


 

.1 중요도(특)

(1) 연면적 1,000 ㎡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 이상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데이터센터

(3)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4)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축물

(5) 중요도(특)으로 분류된 건축물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부속 건축물 및 공작물

 

3.2 중요도(1)

(1) 연면적 1,000 ㎡ 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 미만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데이터센터

(3) 연면적 5,000㎡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전시장·운동시설·판매시설·운수시설(화물터미널과 집배송시설은 제외함)

(4) 아동관련시설·노인복지시설·사회복지시설·근로복지시설

(5) 5층 이상인 숙박시설·오피스텔·기숙사·아파트

(6) 학교

(7) 수술시설과 응급시설 모두 없는 병원, 기타 연면적 1,000㎡이상인 의료시설로서 중요도(특)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3.3 중요도(2)

(1) 중요도(특), (1), (3)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다음 중 착공신고시 구조안전확인서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지않아도 되는 건축물은?

 

  1. 층수가 2층인 조적조 상가
  2. 연면적 200m2 이상인 철근콘크리트 공연장
  3. 12m 이하의 철골조 건물
  4. 처마높이 9m 철골조 교회
  5. 기둥과 기둥사이가 10m인 철근콘크리트구조 학교

건축법 시행령

[시행 2023. 2. 14.] [대통령령 제33249호, 2023. 2. 14., 일부개정]

제32조(구조 안전의 확인) ① 법 제48조제2항에 따라 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한다.

<개정 2009. 7. 16., 2013. 3. 23., 2013. 5. 31., 2014. 11. 28.>

② 제1항에 따라 구조 안전을 확인한 건축물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건축주는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로부터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받아 법 제21조에 따른 착공신고를 하는 때에 그 확인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표준설계도서에 따라 건축하는 건축물은 제외한다.

<개정 2014. 11. 28., 2015. 9. 22., 2017. 2. 3., 2017. 10. 24., 2018. 12. 4.>

1. 층수가 2층[주요구조부인 기둥과 보를 설치하는 건축물로서 그 기둥과 보가 목재인 목구조 건축물(이하 “목구조 건축물”이라 한다)의 경우에는 3층] 이상인 건축물

 

2. 연면적이 200제곱미터(목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5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만, 창고, 축사, 작물 재배사는 제외한다.

 

3. 높이가 13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처마높이가 9미터 이상인 건축물

 

5.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10미터 이상인 건축물

 

6.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를 고려한 중요도가 높은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건축물

 

7.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

 

8. 제2조제18호가목 및 다목의 건축물

 

9. 별표 1 제1호의 단독주택 및 같은 표 제2호의 공동주택

 

③ 제6조제1항제6호다목에 따라 기존 건축물을 건축 또는 대수선하려는 건축주는 법 제5조제1항에 따라 적용의 완화를 요청할 때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2017. 2. 3.>

[전문개정 2008. 10. 29.]

반응형

 

 

 

V = 45kN, 원형단면 반경 100mm일때, 최대 전단응력은?

 

 


 

※ 원형단면에서의 최대 전단응력

$\tau =\dfrac{4V}{3A}=\dfrac{4\times 45\times 10^3}{3\times \pi \times 50^2}=7.6MPa​$


 

 

폭 4cm 높이 7cm 의 도심축의 단면2차반경은?

 


$\gamma =\sqrt{\dfrac{I}{A}}=\sqrt{\dfrac{(\dfrac{4\times 7^3}{12})}{4\times 7}}=2.02​$

 


 

 

피로를고려하지않고 조건-이형철근,350 일때 응력범위는?

 

  1. 130
  2. 140
  3. 150
  4. 160
  5. 170

 

 


 

 

내진구조설계 시 특수골조모멘트 휨부재의 설 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순경간이 유효깊이의 4배 이상이어야한다
  2. 부재의 폭은 250mm 이상이어야 한다
  3. 휨부재 축방향과 직각으로 잰 지지부재의 폭에 받침부 양측면으로 휨부재 깊이의 3/4을 더한값보다 작아야 한다
  4. 30mm 이내여야 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전단철근 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1. $\dfrac{A_{v}\times fy\times d}{s}$

2. 경사철근

3. 원형철근 루프철근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