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기초밑면크기가 2.5m x 2.5m인 독립기초(자중포함)가 축방향력 600kN, 휨모멘트 150kN·m를 받을 때 기초저면 편심거리는?

 

  1. 0.17m
  2. 0.2m
  3. 0.25m
  4. 0.3m
  5. 0.4m

 

$e=\frac{150kN\cdot m}{600kN}=0.25m$

 

 

 

접합병용시 하중(강도 및 응력)부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단접합이 아닐 때 일반 볼트와 용접병용시 일반볼트와 용접이 각각 하중부담
  2. 고장력볼트와 용접병용시 용접 먼저 시공, 고장력볼트 체결한 경우 각각 하중 부담
  3. 리벳과 용접병용시 각각 하중부담
  4. 리벳과 일반볼트 병용시 각각 하중부담
  5. 리벳과 고장력볼트 병용시 각각 하중부담

 


 

 

볼트와 같은 긴결제에 대한 모재의 접합 시 접합부의 파단형태가 아닌 것은?

 

  1. 볼트(긴결재)의 인장파괴
  2. 볼트(긴결재)의 전단파괴
  3. 볼트(긴결재)의 비틀림파괴
  4. 모재의 지압파괴
  5. 모재의 인장파괴

 


 

 

강구조물의 보와 기둥 연결시 가장 적합한 형태의 접합은?

 

  1. 완전강접합
  2. 부분강접합
  3. 전단접합
  4. 반전단접합
  5. 모멘트접합

 

이 부분은 확인을 해봐야할 것 같네요...

반응형

 

 

강구조에 사용하는 스티프너(Stiffn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티프너는 플랜지의 국부좌굴 방지를 위해 사용한다.
  2. 중간스티프너는 보 전체를 통해 재축에 직각방향으로 보강한다.
  3. 하중점스티프너는 집중하중이 작용하는곳에 사용한다.
  4. 수평스티프너는 휨좌굴과 압축좌굴에 효과적이다.
  5. 중간스티프너는 집중하중이나 반력을 받지않는 경우에는 인장플랜지에 접합하지 않아도 된다.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를 참고하여 자주  나오는 유형을 분석하고 공식의 경우 암기하시길 바랍니다.


 

 

400MPa D16 이형철근의 수평철근비는 무엇인가?

 

  1. 0.05%
  2. 0.10%
  3. 0.15%
  4. 0.20%

 


 

 

부정정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형에 의해 불리한 응력발생
  2. 안정성유리
  3. 경제성 불리
  4. 설계 해석 어려움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