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문제 복원을 전달드립니다. 오답이 있을 수 있으니, 개인 서적이나 자료를 이용해 비교하여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용접 특성으로 옳은 것은?
- 취성파괴 우려 없음 , 피로강도 높음
- 용접순서 가조립 1차 조임 금매김 본조임
- 부재 두께 상관없이 용접할 수 있다
- 용접검사 모호하다
- 모재 결손이 없어서 강재 절약할 수 있다
다음 구조물의 판별로 옳은 것은?

- 불안정
- 정정
- 1차부정정
- 2차부정정
- 3차부정정
독립기초 문제 N=400kN M=200kNm일 때 압축력만받기 위한 최소 기초길이는?

- 0.5
- 1
- 2
- 3
- 4
편심거리(e)=0.5m
ex=$\dfrac{L}{6}$
L=0.5X6=3m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의 탄성계수는?
- 2.0×10^5 N/mm$^2$
- 2.0×10^6 kgf/cm$^2$
- 2.0×10^7 kgf/cm$^2$
- 2.1×10^5 N/mm$^2$
- 2.1×10^6 kgf/cm$^2$
200GPa
200,000MPa=20,000N/mm$^2$
반응형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설계에서 고정하중 200kN$cdot$m , 활하중 100kN$cdot$m 일경우 부재설계용 극한모멘트는?
- 280kN$cdot$m
- 300 $cdot$m
- 400 $cdot$m
- 420 $cdot$m
- 440 $cdot$m
1.2D+1.6L
1.2X200+1.6X100=400
fy=400MPa 1방향 슬래브 최소 두께 옳지 않은 것은?
- 1방향 슬래브 단순지지 L/20
- 1방향 슬래브 1단연속 L/24
- 1방향 슬래브 양단연속 L/28
- 1방향 슬래브 캔틸레버 L/18
-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 단순지지 L/16
표 4.2-1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보 또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 (KDS 14 20 30 :2021)
부재
|
최소 두께,
|
|||
단순 지지
|
1단 연속
|
양단 연속
|
캔틸레버
|
|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부재
|
||||
· 1방향 슬래브
|
L/20
|
L/24
|
L/28
|
L/10
|
∙ 보
∙ 리브가 있는 1방향 슬래브 |
L/16
|
L/18.5
|
L/21
|
L/8
|
이 표의 값은 보통중량콘크리트(=2,300kg/m3)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 부재에 대한 값이며, 다른 조건에 대해서는 이 값을 다음과 같이 보정하여야 한다.
1) 1,500~2,000kg/m3 범위의 단위질량을 갖는 구조용 경량콘크리트에 대해서는 계산된 값에 (1.65-0.00031)를 곱하여야 하나, 1.09 이상이어야 한다. 2) 가 400MPa 이외인 경우는 계산된 값에 (0.43+/700)를 곱하여야 한다. |
다음 그림의 고장력볼트 M20, 두께 10mm 일때 인장재 순단면적은?

- 1100 mm$^2$
- 680 mm$^2$
- 660 mm$^2$
- 640 mm$^2$
- 620 mm$^2$
건축직 공기업 필기 시험에 대한 대비를 위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에 대한 개인적인 해석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해설을 원하시면 관련 서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나오는 유형 및 문제를 풀이와 해설을 하여 이해를 한번 하시고 공식을 암기하셔도 됩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인데 단위 변환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오답이 있으니, 필히 확인바랍니다.
반응형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문제 복원 건축구조-10 (1) | 2024.02.12 |
---|---|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문제 복원 건축구조-9 (1) | 2024.02.12 |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문제 복원 건축구조-7 (1) | 2024.02.11 |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문제 복원 건축구조-6 (1) | 2024.02.11 |
건축직 공기업 필기 기출 문제 복원 건축구조-5 (1) | 2024.02.11 |